1.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 지원 금융상품입니다. 쉽게 말해,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보태주고, 5년 후에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.
💡 핵심 요약
✔ 가입 대상: 만 19~34세 청년
✔ 가입 기간: 5년
✔ 월 납입금: 최대 70만 원
✔ 정부 지원: 소득에 따라 최대 월 2만 4,000원 지급
✔ 세제 혜택: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
쉽게 말해, 적금처럼 저축하면서도 정부의 지원금과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.
2. 가입 조건은?
청년도약계좌는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,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✅ 연령 요건
✔ 신청일 기준 만 19세~34세 청년
✔ 병역복무 기간(최대 6년)은 연령에서 제외 가능
✅ 개인소득 요건
✔ 연봉 7,500만 원 이하
✔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
✅ 가구소득 요건
✔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250% 이하
💡 중위소득 250% 이하가 뭔가요?
✔ 1인 가구: 약 488만 원 이하
✔ 2인 가구: 약 811만 원 이하
✔ 3인 가구: 약 1,045만 원 이하
✔ 4인 가구: 약 1,278만 원 이하
가구소득은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경우 부모님의 소득도 포함됩니다.
✅ 금융소득 요건
✔ 연간 금융소득(이자·배당)이 2,000만 원 이하
3.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정부가 지원금을 추가로 넣어준다는 것입니다.
✔ 개인소득 2,400만 원 이하 → 정부 지원금 월 2만 4,000원
✔ 개인소득 3,600만 원 이하 → 정부 지원금 월 1만 8,000원
✔ 개인소득 4,800만 원 이하 → 정부 지원금 월 1만 2,000원
✔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 → 정부 지원금 월 6,000원
✔ 개인소득 7,500만 원 이하 → 정부 지원 없음
💡 예를 들어볼까요?
- 연봉 2,400만 원 이하 청년이 매달 70만 원씩 5년 동안 저축하면?
→ 총 4,200만 원 + 정부 지원금 144만 원 + 이자
→ 최대 5,000만 원 이상 목돈 마련 가능!
4. 신청 방법과 신청처
청년도약계좌는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📌 신청 가능한 은행
✔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농협, 부산, 대구, 광주, 전북, 경남 (총 11개 은행)
📌 신청 방법
1️⃣ 각 은행의 모바일 앱 접속
2️⃣ ‘청년도약계좌’ 검색 후 신청하기
3️⃣ 본인인증 및 소득·가구소득 입력
4️⃣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심사 진행 (약 3주 소요)
5️⃣ 승인되면 계좌 개설 후 자동 납입 시작!
💡 신청 기간
✔ 매월 1~2주차 평일(은행 영업시간 기준) 접수 가능
✔ 신청 후 심사 통과 시 계좌 개설 가능
5. 청년도약계좌, 가입해야 할까?
📌 이런 사람이라면 꼭 가입하세요!
✔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할 수 있는 청년
✔ 정부 지원금을 놓치고 싶지 않은 청년
✔ 목돈 마련이 필요한 청년
📢 하지만 5년 만기 전 해지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니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!
6. 마무리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최고의 재테크 수단 중 하나입니다.
✔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목돈 마련 가능
✔ 정부 지원금 & 세제 혜택 덤!
✔ 가입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신청 가능
놓치지 말고, 자신의 조건을 확인한 후 은행 앱을 통해 신청하세요! 😊
'이전 이야기들 > Life idea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0~120cm 아이와 롯데월드 제대로 즐기려면? 필수 체크리스트 📌 (1) | 2025.02.28 |
---|---|
토스 환급금 조회, 환급금 신청 - 수수료 NO! 직접 신청하는 방법 알려드려요 (0) | 2025.02.11 |
내 아이의 태몽은? 자주 등장하는 꿈과 그 의미 (0) | 2025.02.11 |
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: 금메달 (0) | 2025.02.10 |
마포순환열차버스 타고 마포 명소 한 바퀴! 🏞️ 노선, 요금, 이용법 총정리 (0) | 2025.02.10 |